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2018년 1회차 38번
- 작성자
- 뭉구
- 작성일
- 2024-07-18 15:28:41
- No.
- 169678
- 교재명
- [필기] 전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집(14개년)
- 페이지
- 112
- 번호/내용
- 38
- 강사명
- 최종인
1. 전기산업기사 2018년 1회차 전력공학 38번 질문입니다.
비슷한 문제 풀때마다 매번 헷갈리는데
문제에서는 '상전압' 이 E라고 주어졌잖아요 그런데 단락전류는 E (대지전압) / Z 인데
문제에서 Y결선이다 델타 결선이다 라는 말이 없으니 델타결선일때 대지전압은 상전압/루트3 으로 해서
(E/루트3) / Z 도 정답이 될 수있는건가요?
2. 전선의 단면적에 대한 질문입니다.
전선의 단면적이 1 / V^2COS^2 에 비례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즉, 단면적이 역률의 제곱과 전압의 제곱에 반비례 하는 이유가 R 이 pl/A 라서 인가요?
3. 전기산업기사 2018년 1회차 회로이 15번 문제에서요 u(t)를 라플라스 변환하면 1/s 이니까 1/s를 곱해줘야 하는거 아닌가요?
4. 분로리액터가 진상부하일때 병렬로 설치해서 역률을 개선, 과 페란티현상 방지로 알고있는데 왜 진상용 이 아니라 지상용 인건가요?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1. 3상 대지전압은 항상 선간전압을 루트3으로 나눈 값입니다.
3상 단락전류는 아래와 같이 해석할 수 있습니다.
사진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2. 질의 시, 종목, 교재명, 기출년도, 문제번호, 페이지 등을 작성해주시길 바랍니다.
네, 말씀하신 저항의 공식을 이용해 유도한 결과입니다.
3. u(t)가 더해진 것이 아니라 e^-t와 2e^-2t에 곱해져 있는 꼴입니다.
u(t)만 있다면 1/s가 맞습니다.
하지만 u(t)앞에 또다른 함수가 있다면 u(t)는 값을 나타내는 것이 아닌 단순하게 0이상에서 1을나타내주는 역할만 하게 됩니다.
즉, 0이상에서만 값을 갖게 하는 역할입니다.
(e^-t)u(t)를 라플라스 변환하면 1/(s+1) 입니다.
(2e^-2t)u(t) 역시 라플라스 변환하면 2/(s+2) 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공식은 사실상 u(t)가 곱해진 걸 생략한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4. 질의 시, 종목, 교재명, 기출년도, 문제번호, 페이지 등을 작성해주시길 바랍니다.
분로리액터는 지상무효전력흡수 또는 진상무효전력공급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부하 관점, 공급자 관점에 따라 다르게 표현하는 것일 뿐 동일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