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a상에 흐르는 전류를 구할 때에 관하여
- 작성자
- 자자
- 작성일
- 2024-07-18 17:49:23
- No.
- 169683
- 교재명
- 전기기사 실기 기출문제집 1권
- 페이지
- 139
- 번호/내용
- 6번
- 강사명
문제에서 역률이 제시되어 전류의 유효, 무효분을 고려해야 한다는 풀이는 이해했습니다.
다만, 풀이와 별개로
(1) 유효,무효분을 분리해서 계산하고 그 값을 크기로 바꾼 것과 (2) 애초에 크기로 계산한 값
두 값이 다르게 나오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예를 들어,
(1) 부하전류 218.69A 를 역률 고려하여 174.69+j131.21로 변환, 지락전류 127.02와 더한 값은 301.97+j131.27가 됨.
이 값의 크기는 328.54
(2) 부하전류 218.69 + 지락전류 127.02 = 345.71
두 방식은 다른 값이 나옵니다.
174.69+j131.21의 크기가 곧 218.69임에도 왜 값이 다르게 나오나요?
문제에서 (1)의 풀이를 채택하는 것과 관계없이 값이 다른 이유를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역률이 다를 때, 단순히 크기끼리만 더하면 안되는 이유는 오차가 크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제가 남쪽으로 100m를 달리고 북쪽으로 50m 달렸다면 출발하기 전과 제 현재 위치를 비교했을 때, 남쪽으로 50m 떨어진 곳에 있을 겁니다.
하지만 방향을 고려하지 않고 크기만 더하게 된다면 저는 150m만큼 달리긴 했는데, 제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게 됩니다.
반대로, 제가 남쪽으로 100m를 달리고 또 같은 방향으로 50m 달렸을 땐 방향이 같기 때문에 방향을 모르더라도 원래 위치보다 150m 떨어진 곳에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로써 방향이 서로 다른 것들을 더할 땐, 이 방향을 고려해주셔야 합니다. 달리는 방향이 같을 땐, 단순 더해도 결과가 같습니다.
이를 벡터로 해석하면 사진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