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역률개선(피상전력 일정)
- 작성자
- 찬우
- 작성일
- 2024-07-30 14:56:44
- No.
- 170063
- 교재명
- 전기기사 실기패키지(128GB, 실기단답포켓)
- 페이지
- p.28
- 번호/내용
- 나침판 역률개선 유형2
- 강사명
- 남민수
나침판 pdf 파일 28/86 페이지에 보면 피상전력이 일정한 경우의 역률 개선을 다뤄주십니다.
정격용량 100kVA 변압기에서 지상역률 0.6 부하에 100kVA를 공급하고 있을때 역률 0.9로 개선하는 문제가 있는데,
문제 풀이를 듣는 도중 궁금한게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초기 상황은 Pa=100kVA, Pr= 80kVAR, P=60kW이고
나중 상황은 Pa=100kVA, Pr=43.59kVAR, P=90kW가 되는 것까지는 이해를 했습니다.
이때 역률개선에 사용되는 콘덴서의 용량을 80 - 43.59 = 36.41kVA로 구하게 되는 것이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부하는 지상역률 0.6으로 일정한 상황에서 콘덴서를 추가해주는것인데, 둘은 병렬로 연결될 것입니다.
이때 병렬 연결된 부하는 100kVA를 소모하고 역률이 0.9이므로 90kW를 소모해야 할텐데,
콘덴서는 유효전력을 발생시킬 수 없기에 원래의 지상 부하에서 전력을 소모할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원래의 지상 부하는 90kW를 소모하고, 역률이 0.6이므로 무효전력은 90*1.33=120kVA를 사용을 할것입니다.
이때 무효전력이 43.59kVAR이 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콘덴서의 용량은 이때의 무효전력인 120kVA에서 개선된 무효전력인 43.59kVA를 빼준 76.41kVA가 되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감사합니다.
지금 추가된 부하의 역률을 0.6으로 생각하신거 같습니다.
해당 풀이는 유효전력 30kW 역률 0.6 부하를 추가로 사용하고,
역률을 0.9로 개선할 경우에 필요한 콘덴서 용량입니다.
일반적으로 별다른 조건이 없다면,
역률1의 부하로 해석해주세요...
즉 말씀하신 것처럼
초기 상황은 Pa=100kVA, Pr= 80kVAR, P=60kW이고
나중 상황은 Pa=100kVA, Pr=43.59kVAR, P=90kW
이므로,
중간 과정에 역률 0.6인 부하를 추가하여 유효분이 90, 무효분이 120이 되는 상황이 아니라(만약 그렇다면 이러한 조건이 주어질거에요)
별다른 조건이 없기 때문에,
전 후 과정을 봤을 때,
무효분이 줄어든 것은 오로지 콘덴서에 의한 것으로 판단
그에 따른 유효분에 여유가 변압기의 여유가 생겨 유효분 부하를 더 달수있다는 의미입니다.
질의 내용을 제가 잘 이해를 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의문이 생기면 편하게 다시 재질의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