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Y결선 회로 지락시 대지전압 변동 질문
- 작성자
- 아이디는6자
- 작성일
- 2024-08-15 19:59:37
- No.
- 170329
- 교재명
- [실기] 전기기사 실기 기출문제집 (22개년)
- 페이지
- 429
- 번호/내용
- 1
- 강사명
- 이재현
중성점 접지의 경우 지락 발생시 대지전위의 변동을 최소화 해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전력공학 - 중성점 접지방식 별 특징 내용)
전력공학 내용을 다시 찾아보면,
지락 발생시
비접지 방식에선 대지가 지락 상으로 이동한다고 이해했습니다 (벡터도에서 중성점이 지락상으로 이어짐에 따라, 다른 나머지 상은 루트 3배 커짐)
직접 접지 방식에선 지락 상이 대지로 이동한다고 이해했습니다 (벡터도에서 지락상이 중성점으로 이동함에 따라, 나머지 전압은 변동X)
이 문제에서 중성점 접지가 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마치 비접지 방식처럼 대지전위 값이 루트3배가 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1차 결선의 접지는 GPT의 접지 입니다.
즉, 중성점 접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지금 델타결선 비접지 계통의 영상전압을 검출하는 기기가 GPT고 GPT는 중성점을 접지하는 것 뿐입니다.
아래 그림을 참고해주세요.
지금 빨간색 델타 계통(비접지)의 영상전압을 검출하기 위해 GPT를 Y결선하여 시설한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