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변압기 효율(전일효율)(3)
- 작성자
- 차니
- 작성일
- 2024-09-05 16:21:10
- No.
- 170863
- 교재명
- [이론] 2024 전기(산업)기사 실기 이론서
- 페이지
- 24
- 번호/내용
- 변압기 효율(전일효율)
- 강사명
- 남민수
나침반 10강 24p
전일효율 (T시간 운전 시)
전체 24시간 중에 변압기를 T시간 운전할 때 변압기의 효율은?
공식에서 철손에 24를 곱했는데
변압기를 T시간 운전했다면 전류가 T시간만 흐른 게 아닌가요?
왜 철손이 24시간 발생했는지 궁금합니다
전류가 흐르지 않아도 철손이 발생하나요?
----------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철손은 부하와 관계가 없는 손실로
변압가 1차측 차단기가 동작하여 철손이 없어지게 됩니다.
즉, 차단기가 동작하지 않는다면 24시간 철손은 발생하며
동손은 24시간 중 사용한 시간에만 발생하게 되겠습니다.
----------
그럼 철손은 변압기 1차측에서만 있는 건가요?
그리고 변압기를 운전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1차측은 운전되고 있는 건가요?
----------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변압기를 24시간 사용 중이라는 것은 전압이 인가되어 전류가 흐르고 있는 상태입니다.
2차측 부하가 없더라 하더라도 1차측 여자전류에 의해 철손이 발생하며,
2차측 부하가 걸리더라도 1차측 여자전류는 항상 일정합니다.
따라서 24시간 사용하게되면 24시간 내도록 철손은 발생합니다.
----------
변압기를 24시간 사용 중이라는 게 아니라
하루 24시간 중에서 변압기를 T시간 사용 중이지 않나요?
그럼 T시간 동안 철손이 발생할 것 같은데요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T시간 운전을 했다는 것은 T시간동안 부하상태라는 말입니다.
그외에는 무부하상태로 운전을 합니다.
"전일"효율이라는 의미가 하루동안 T시간 동안 부하를 달았을 때의 효율입니다.
말씀하신것처럼 T시간 사용한 부분의 효율만을 구했다면 "전일"이라는 표현을 안썼을 것이며,
단순히 T시간사용한 부분의 효율은 실제 유효한 의미있는 수치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