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역률 개선 원리 단답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개솔
- 작성일
- 2024-09-07 16:23:51
- No.
- 170940
- 교재명
- [기출] 전기산업기사 실기 기출문제집 (22개년)
- 페이지
- 134
- 번호/내용
- 6
- 강사명
1-(1) 부하의 역률을 개선하는 원리를 간단히 쓰시오.
-> 전력용 콘덴서를 부하와 병렬로 연결하여
지상의 무효전력을 감소시켜 역률을 개선한다.
1- (2) 역률을 개선하는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 콘덴서로 진상 무효전류를 공급하여
유도성 부하의 지상 무효전류를 감소시켜 역률을 개선한다.
같은 문제로 보고 답을 통일해도 괜찮을까요?
(통일해도 괜찮다면 1,2번 중 어떤 답안이 더 나은지도 부탁드립니다.)
+ 추가질문
2. 문제에 피뢰기의 속류에 대하여 설명하라고 되어 있습니다.
검색 해보다가 아주 예전에 달아주신 답글에
[방전이 끝난 후에도 계속해서 피뢰기를 통해 대지로 흐르는 상용 주파전류]라고
달아주신 게시글을 봤는데 지금 답으로 써도 유효한걸까요?
3. (P175 9번문제) 변압기의 고장(소손) 원인 = 옥외용 변전소 내의 변압기 사고라 생각할 수 있는 것
포켓집을 보니 위에 두개가 중복되는 단답들이여서 둘을 묶어서 외우려고 합니다.
(1) 권선의 층간단락 (2) 권선의 상간단락 (3) 권선의 단선사고 (4) 고저압 혼촉
(5) 지속적인 과부하 등에 의한 과열사고
이렇게 외우려고 하는데 괜찮을까요?
4. 179P 15번 문제 (2) 변류기(CT) 2차측에 접속하는 외부 부하 임피던스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답: 부담] 이라고 되어있습니다.
밑에 부담에 대한 해설을 보면 부담은
(1) [2차측 혹은 3차측에 접속되는 부하임피던스]
(2) [정격 2차전류를 흘렸을 때 부하임피던스에서 소비하는 피상전력] 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2)번의 경우 정격부담에 대한 것으로 단답 암기를 하고 있습니다.
궁금한건 해설을 보고 문제에 대한 답을 부담 = 정격부담을 써도 되는 지와 둘을 같은 의미로 봐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부하임피던스를 묻는다면 부담, 임피던스에서 소비하는 피상전력을 묻는다면 정격부담 이렇게 봐야될까요?
5. 폐쇄형 수배전반 특징
[수전설비를 구성하는 기기를 단위폐쇄 배전반이라 불리는 금속제 외함에 넣어서 수전설비를 구성하는 것] 에서
[금속제 외함에 수변전설비들을 넣은 단위 폐쇄형의 수전장치] 라고 특징을 써도 가능할까요?
(추가 질문이 점점 늘어나네요.. 항상 감사드립니다! )
1. 네, 가능합니다.
2.
네, 맞습니다.
속류란 이상전압 내습 시 뇌전류 이후에 따라 들어오는 정상전류(상용주파전류)를 의미합니다.
3.
네, 가능합니다!
4.
정격전류가 흘렀을 때 부하 임피던스에서 소비하는 피상전력의 경우 정격부담이 더욱 정답와 가깝게 판단됩니다.
다만, 해당 문제와 같이 정격정류에 대한 언급이 없을 경우 일반적으로 정격전류가 흐를 때 이를 묻기 때문에
부담 또는 정격부담 모두 가능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5.
단답의 경우 채점결과가 공개되지 않으므로 가능한 교재와 같이 작성하는 것을 권장드리오나
작성해 주신 내용도 해당 문제에 대한 키워드를 올바르게 작성했다 생각되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