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교재질문방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자유게시판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자료실
각 과목의 자료 모음
정오표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단답포켓집 문의

작성자
zeno1984
작성일
2024-09-08 14:32:50
No.
170965
교재명
[이론] 2024 전기(산업)기사 실기 이론서
페이지
번호/내용
강사명
이재현

질문에 앞서서 문의 방법이 잘못되었다면 다시 올리겠습니다. 

아래 내용은 단답자료를 전회독 하니 너무도 궁금하고, 이해가 가지 않는 것들이라, 정리하여 문의 드립니다.


1. 변류기 기계적 과전류 : 정격과전류의 2.5배의 초기순시값을 갖는 과전류에 견뎌야한다 가능한가요?


2. 부등률/수용률 의미 : 공식만 작성해도 가능할까요? 설명이란게 공식을 말로써 풀어쓰는거니....


3. ASS  

  1> 특징 : (고장전류에서?) 무전압시(무부하?) 개방이 가능하고, 과부하시 자동으로 개폐(개방?)할 수 있는 고장구분개폐기로서 돌입전류 억제기능을 갖고 있다.가능한가요?

   (1) (고장전류에서?) 이것의 의미가 있는게 정확할까요?

   (2) 무전압을 무부하로 봐도 되나요?

   (3) 개폐와 개방은 다른데, 단답집과 문제에서 개폐랑 개방을 혼용해서 써서 헷갈립니다....

         관련 전뿌님 동영상을 봐도 헷갈리네요....

 2> LOCK전류 : 정격 LOCK 전류 이상이 흐를경우 ASS는 LOCK 되고 후비보호장치 차단후에 ASS는 개방되어 고장구간을 자동 분리하는 기능 ,,, 가능한가요?


4. 특고압/고압/저압 케이블 종류

 1> 특고압 케이블 : 1. 알루미늄피 케이블, 2. 파이프형 압력 케이블, 3. 가교 폴리에틸렌 비닐시스 케이블...가능한가요?

                                     지중전선로 케이블과 같은데, 지중전선로에서 사용하는 특고압 케이블이 전용이 아니라,

                                    그냥 일반적인 특고압 케이블을 사용하는거죠?

2> 고압/저압 케이블 : 고압, 저압 케이블 종류가 단답에 없던데,,,,단답자료가 실기 기출에서 나온거일텐데,

                                           단답자료에는 별도 언급이 없더라구요,,,어떻게/ 무엇을 / 몇개 적어야 하나요?

                                           아직 과련 문제를 못봤어요....


5. 설페이션 현상 : 납축전지를 방전상태로 오래방치할때, 극판표면에 회백색 부도체 성질을 갖는 현상.

                                    전지의 용량감소 및 수명단축된다.


6. 균등충전 : 어느것이 맞는 표현일까요? 둘다 아닌가요?

 1> 개개의 축전지를 균등하게 하귀해 정기적으로 행하는 일종의 과충전

 2> 1~3개월 1회에  정전압충전, 용량 균일화 위한 충전


7. 역률감소시 수용가 손해중에 ....

 1> 부하용량증가(설비여유감소) :  역률이 감소되어 무효전류/전력이 증가된상태니 부하용량도 증가되어야 하고,                                                                              설비용량(변압기용량)은 점점더 여유가 없어진다는 의미인가요?


8. 진상콘덴서로 과보상시 효과에서....

1> 설비용량 부족으로 과부하 가능성 : 진상무효 전류/전력에 의한 부하용량 증가(설비용량 여유감소)의미 인가요?

                                                                        결국 지상무효전력/전류에서도 진상 무효전력/전류에서도 둘중 어느것이 과하면 ,

                                                                         동일하게 부하용량증가(설비용량감소)가 된다는 의미인가요?

                                                                        결국, "설비용량 부족으로 과부하 가능성 "이것을,

                                                                          "부하용량증가(설비용량감소)"로    대체 가능한가요?

9. 직렬리액터 역할 : 

   1> 고조파로 인한 전압파형 왜곡방지 :  고조파 왜곡 방지로 가능한가요?

   2> 고조파 전류 억제로 계전기오동작 방지  : 계전기 오동작 방지로 가능한가요?


10. 풍력발전 특징

   1> 화석연료 대비하여 에너지 고갈에 대비가능  :  자원이 거의 무한대이다(태양광 동일)로 가능한가요?


11. 태양광 발전 특징

   1> " 유지보수 무인화 가능 " 가능한가요?


12. 연료전지 특징....가능한가요?

   1> 발전효율 높다

   2> 친환경적이다

   3> 소음/진동 없다

   4> 단위출력당 무게 작다

   5.>건설기간 짧다


10. 단답자료에서....여러번 언급되는 문구인데, "전기기계기구" 등...관련 기기 언급내용을 -> "기기" 표현가능한가요?

예를들면,,,,,기기외함 접지, 기계기구 외함접지, 기기보호, 전기 설비 보호,  설비보호 등등을 기기로 포괄적인 표현이 되나 싶어서요.





COMMENTS

담당교수
2024-09-09 11:06:46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질문은 되도록 나눠서 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변류기 기계적 과전류 : 정격과전류의 2.5배의 초기순시값을 갖는 과전류에 견뎌야한다 가능한가요?

→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2. 부등률/수용률 의미 : 공식만 작성해도 가능할까요? 설명이란게 공식을 말로써 풀어쓰는거니....

→ 의미에 대해서 묻는 문항이라면, 해당 의미에대해 설명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3. ASS  

 1> 특징 : (고장전류에서?) 무전압시(무부하?) 개방이 가능하고, 과부하시 자동으로 개폐(개방?)할 수 있는 고장구분개폐기로서 돌입전류 억제기능을 갖고 있다.가능한가요?


   (1) (고장전류에서?) 이것의 의미가 있는게 정확할까요?


   (2) 무전압을 무부하로 봐도 되나요?


   (3) 개폐와 개방은 다른데, 단답집과 문제에서 개폐랑 개방을 혼용해서 써서 헷갈립니다....


         관련 전뿌님 동영상을 봐도 헷갈리네요....


→ ASS는 마치 DS처럼 무부하시에 선로를 개폐(열고닫는)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과부하시(과전류가 흐를 경우) 자동으로 개방(이 경우는 개방이 정확합니다. 과부하전류가 흐르게 되면 선로를 개방해야하니까요) 할 수 있습니다.

→ ASS는 ASS와 연결된 차단기 혹은 리클로저등이 차단된 상태에서 ass가 동작을 합니다. 즉, 차단기가 동작하게 되면 개로된 상태이므로 전류가 흐르지 않아 무부하 상태가 되고, 또한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무전압 상태가 됩니다. 다만, 부하가 없어진 것이라기 보다 전원을 차단하였으므로 무전압이라고 답하시길 권장합니다.


 2> LOCK전류 : 정격 LOCK 전류 이상이 흐를경우 ASS는 LOCK 되고 후비보호장치 차단후에 ASS는 개방되어 고장구간을 자동 분리하는 기능 ,,, 가능한가요?

→ 가능합니다.


4. 특고압/고압/저압 케이블 종류

 1> 특고압 케이블 : 1. 알루미늄피 케이블, 2. 파이프형 압력 케이블, 3. 가교 폴리에틸렌 비닐시스 케이블...가능한가요?


                                     지중전선로 케이블과 같은데, 지중전선로에서 사용하는 특고압 케이블이 전용이 아니라,


                                    그냥 일반적인 특고압 케이블을 사용하는거죠?

2> 고압/저압 케이블 : 고압, 저압 케이블 종류가 단답에 없던데,,,,단답자료가 실기 기출에서 나온거일텐데,


                                           단답자료에는 별도 언급이 없더라구요,,,어떻게/ 무엇을 / 몇개 적어야 하나요?


                                           아직 과련 문제를 못봤어요....


→ 지중전선로에서는 케이블을 사용합니다. KEC 122 전선의 종류에 따른 특고압 케이블 종류를 작성해주시면 됩니다.(교재 답안대로 작성하시면 됩니다.) 저압, 고압케이블의 종류는 23년 KEC 일부 개정으로 인해 삭제되었습니다. 따라서 출제되지 않을것으로 보입니다.


5. 설페이션 현상 : 납축전지를 방전상태로 오래방치할때, 극판표면에 회백색 부도체 성질을 갖는 현상.


                                    전지의 용량감소 및 수명단축된다.

→ 네, 해당 의미도 맞습니다.


6. 균등충전 : 어느것이 맞는 표현일까요? 둘다 아닌가요?

 1> 개개의 축전지를 균등하게 하귀해 정기적으로 행하는 일종의 과충전

 2> 1~3개월 1회에  정전압충전, 용량 균일화 위한 충전


→ "전위차 보정"을 위해 1~3개월 마다 1회의 정전압으로 10~12시간 충전 방식으로 이해해주세요. 전위차 보정이라는 키워드를 넣어주세요


7. 역률감소시 수용가 손해중에 ....


 1> 부하용량증가(설비여유감소) :  역률이 감소되어 무효전류/전력이 증가된상태니 부하용량도 증가되어야 하고,  설비용량(변압기용량)은 점점더 여유가 없어진다는 의미인가요?

→  변압기가 부하에 용량을 공급하는데, 부하 용량이 증가하여 변압기 부담이 커진다라는 얘기입니다.  쉽게 설명 드리면, 밥솥 1인분짜리를 샀는데 갑자기 친구가 놀러와서 3인분을 해야되는 상황이라고 생각해주세요. 1인분에서 3인분으로 부하 용량이 증가하여, 밥솥(=변압기)입장에선 여유가 없어집니다. 


8. 진상콘덴서로 과보상시 효과에서....

1> 설비용량 부족으로 과부하 가능성 : 진상무효 전류/전력에 의한 부하용량 증가(설비용량 여유감소)의미 인가요?


                                                                        결국 지상무효전력/전류에서도 진상 무효전력/전류에서도 둘중 어느것이 과하면 ,


                                                                         동일하게 부하용량증가(설비용량감소)가 된다는 의미인가요?


                                                                        결국, "설비용량 부족으로 과부하 가능성 "이것을,


                                                                          "부하용량증가(설비용량감소)"로    대체 가능한가요?


→ 대부분의 부하는 지상부하입니다. 따라서 역률개선을 위해 진상콘덴서로 보상을합니다. 이러한 진상 콘덴서가 과부하로 걸리면 오히려 역률이 나빠지게 됩니다. 가능할것으로 보이빈다.


9. 직렬리액터 역할 : 


   1> 고조파로 인한 전압파형 왜곡방지 :  고조파 왜곡 방지로 가능한가요?


   2> 고조파 전류 억제로 계전기오동작 방지  : 계전기 오동작 방지로 가능한가요?

→ 가능합니다.


10. 풍력발전 특징


   1> 화석연료 대비하여 에너지 고갈에 대비가능  :  자원이 거의 무한대이다(태양광 동일)로 가능한가요?

→ 네, 가능합니다.


11. 태양광 발전 특징

   1> " 유지보수 무인화 가능 " 가능한가요?

→ 네, 가능합니다.


12. 연료전지 특징....가능한가요?

   1> 발전효율 높다

   2> 친환경적이다

   3> 소음/진동 없다

   4> 단위출력당 무게 작다

   5.>건설기간 짧다

→ 네, 가능합니다.


10. 단답자료에서....여러번 언급되는 문구인데, "전기기계기구" 등...관련 기기 언급내용을 -> "기기" 표현가능한가요?


예를들면,,,,,기기외함 접지, 기계기구 외함접지, 기기보호, 전기 설비 보호,  설비보호 등등을 기기로 포괄적인 표현이 되나 싶어서요.


→ 네,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