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기전력 제거 시 VL
- 작성자
- 만분
- 작성일
- 2024-09-21 23:14:42
- No.
- 171294
- 교재명
- 2024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 페이지
- 176
- 번호/내용
- 기전력 제거
- 강사명
- 최종인
교재 176페이지 질문 드립니다.
VL 전압에 왜 -(마이너스)부호가 붙었는지 알고
싶습니다.
VL=-Ee^(-R/L)^t[V]
직류 R-C직렬회로에서 기전력 제거시 콘덴서(C)가 방전 할때
전류의 방향은 충전했을 때와 반대가 되어
전류 앞에 -(마이너스)부호가 붙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전류 i=-E/Re^(-1/RC)^t[A]
위와 같은 이유라면
직류 R-L 직렬회로에서 기전력 제거시 전류는 인가했을때와
OFF했을 때가 똑같은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기에 전류에 -(마이너스)부호가
붙지 않았습니다.
전류 i=E/Re^(-R/L)^t[A]
기존 질문 답변을 검색하던 중 아래 질문에 대한 답변을 봤습니다.
질문제목 : 과도 현상 RL RC 직류직렬회로 전압 전류 방향 (No : 168268)
1,2번 답변은 이해가 가는데.. 3번 답변은 이해가 안가네여..
제가 계속 고민과 생각을 해봤는데요..
궁금한것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p.174 그림12-1 회로도에서 각 극성이 맞을까요?
- L +
+ -
E R
- +
2. 왜 VL 전압에는 -(마이너스)부호가 붙었는지 궁금합니다.
3. 콘덴서와 마찬가지로 기전력 제거 시 인덕터에 축적된 전류(축적시는 +,-)가
인덕터에서 R(저항)으로 흐를때 극성이 반대인 -, +가 되어 VL에 (-)가 붙게 된 걸로
이해하면 될까요?
이렇게 이해를 한다면 교재의 그림(p.176 그림12-2)에서 전류의 방향은 역방향이
되야 하는 건가여?
아니면 VL에 (-)가 붙는 건 전류의 방향과는 상관이 없으므로
그림처럼 전류의 방향은 시계방향이 맞는 건가여?
4. 기전력을 제거한다는 건 더 이상의 전압공급이 없으므로
VR+VL=0 이므로 VL= -VR로 이해하면 될까요?
전기기사 시험을 준비한지 1달정도 된 새내기 라서 두서없이 질문한거 같네여..
현재 회로이론이 거의 끝나가긴 하는데.. 하루에 6~7시간씩 공부해도 진도는 엄청 안나가고
회로이론을 시작한지가 오늘부로19일째인데..정말 이대로가도 괜찮을지 답답합니다ㅠㅠ
더운 날씨가 가고 급격하게 쌀쌀해지는데 감기 조심하세여~~ 감사합니다.
1.
L과 R 모두 전압원 E에 극성에 의해 발생한 전류의 방향이 시계방향이므로
모두 + - 의 극성이 되겠습니다.
2.3.
전압원 E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의 방향을 시계방향이라 기준하였습니다.
이때, 기전력 제거 시 L에 축적된 전류의 방향은 반시계방향이 됩니다.
즉, 전류의 방향이 반대이므로 발생하는 기전력 또한, 반대방향 (-)로 표현한 것 입니다.
4.
네 맞습니다. L에 축적된 에너지가 R에 의해 소비가 되며
이때, 극성은 서로 반대가 되어 작성해 주신 식이 성립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