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재질문] 기전력 제거 시 VL
- 작성자
- 만분
- 작성일
- 2024-09-23 12:35:24
- No.
- 171326
- 교재명
- 2024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 페이지
- 176
- 번호/내용
- 기전력 제거
- 강사명
- 최종인
죄송합니다. 답변해주신 내용 읽어봤는데 이해안가는 부분과 확인해주셨음 하는게 있어서
재차 다시 질문드립니다. 번거롭게 해드려 정말죄송합니다.
1.L과 R 모두 전압원 E에 극성에 의해 발생한 전류의 방향이 시계방향이므로
모두 + - 의 극성이 되겠습니다.
그럼 아래 그림 중 어떤게 맞나여? (p174 그림 12-1 R-L직렬회로)
- L + + L -
+ - + +
E R E R
- + - -
[그림1] [그림2]
2. R-C직렬회로의 극성도 어떤게 맞는지 확인해주세여(p177 그림 12-3 R-C직렬회로)
- R + + R -
+ - + +
E C E C
- + - -
[그림A] [그림B]
3. 전압원 E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의 방향을 시계방향이라 기준하였습니다.
이때, 기전력 제거 시 L에 축적된 전류의 방향은 반시계방향이 됩니다.
즉, 전류의 방향이 반대이므로 발생하는 기전력 또한, 반대방향 (-)로 표현한 것 입니다.
답변해주신 내용대로 이해를 하면...
R-L 직렬회로에서 기전력 제거시 전류는 인가했을때와 OFF했을 때가
똑같은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기에 전류에 -(마이너스)부호가
붙지 않았습니다. 전류 i=E/Re^(-R/L)^t[A]
이건 왜 그런건가여?
교재 그림12-2에서도 전류의 방향은 기전력 제거 전과 똑같습니다.
4. 기전력 제거 시 L에 축적된 전류의 방향은 반시계방향이 된다고 하셨는데..
같은 이유로 R-C직렬회로에서도 콘덴서가 방전 시 전압원의 역활을 해야 하기에
전류가 반시계방향으로 흐르기에 전류에 (-)부호가 붙는건가여?
근데 Vc(t)=Ee^t/RC[A] 에는 왜 (-)부호가 안붙는건가여?
1.2.
모두 그림 2의 극성이 올바른 표현이 됩니다.
기전력에 의한 전류의 방향이 시계방향이므로
각 소자에서 전압강하가 발생하므로 기전력의 방향과 반대방향이 되겠습니다.
3. 4.
전류에 대해 나타날 때 방향을 고려하지 않은 크기 및 시간에 따른 전류의 변화에 대해서 나타낸 것이 됩니다.
즉, 전류의 방향은 동일하게 기전력 제거 시 기존에 전압원에 의해 L에 걸린 극성 + -의 상태에서 축적된 전류가 흘러
반대방향으로 전류가 발생하며 그때 전류의 크기가 주어진 식과 같음을 의미합니다.
기전력 제거 시의 특성 ④의 경우 저항과 코일의 기전력이 서로 반대방향임을 나타내기 위해
방향까지 고려하여 나타낸 것이라 생각해 주시길 바랍니다.
R-C회로에서의 커패시터에 축전된 전하에 의한 기전력 및 전류의 방향도 위와 동일한 원리에 의해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