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비례추이 가능한 것과 불가능한 것
- 작성자
- fowles112
- 작성일
- 2024-09-28 02:33:42
- No.
- 171479
- 교재명
- 2024 전기기기
- 페이지
- 162
- 번호/내용
- 비례추이 가능, 불가능
- 강사명
- 이재현
162p에 비례추이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이 개념으로 나와있습니다.
질문1.
비례추이가 가능하냐는 의미는 r/s를 포함하고 있으면 비례추이가 가능한 부분이라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가령 토크 공식에서 r/s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토크는 비례추이가 가능한 요소이며
r2값이 증가해도 s값이 비례하여 증가되기 때문에 토크는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고 알고있습니다.
하지만 기동 토크는 2차 저항을 추가시에 증가하는데요.
기동시 => 2차 저항에 비례하여 토크 증가
운전시 => 비례추이 하기 때문에 2차 저항을 변화해도 토크는 일정
이렇게 구분해서 외우는게 맞나요?
질문2.
하지만 역률 역시 비례추이가 가능하다고 적혀 있는데요.
비례추이가 가능하다면 역률 공식에 r2/s가 포함되어 있다는 뜻인데, 토크는 2차 저항을 늘려도 s값이 늘어서 일정하지만
왜 역률은 비례추이가 가능하면서, 2차저항이 늘어나면 역률은 더 좋아지나요?
역률 역시 s값이 증가해서 r2/s 성분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역률도 일정하게 되는게 아닌가요?
역률 역시 기동시와 운전시를 구분해서 개념을 정리하면
기동시 ( s = 1)
다음과 같이 s가 1이기 때문에 저항을 증가하면 역률이 좋아지지만..
운전시에는 비례추이 하기 때문에 역률은 일정하다 이렇게 외우는게 맞나요?
질문3.
2차 전류는 슬립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비례추이가 가능한 요소로 이해했는데
1차 전류는 어떻게 비례추이가 가능한가요?
1차 전류는 회전자게를 만드는데 쓰이는 전류가 아닌가요? 슬립의 영향을 어떻게 받을 수 있죠?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1) 기동 토크의 경우는 2차저항을 증가시킬 경우 증가하게 됩니다. 최대토크는 2차저항이 증가하더라도 변하지 않습니다.(비례추이와 무관하게 2차 저항과 관련이 없습니다.)
2)
유도전동기의 운전 시 역률과 슬립은 비례하지만,
유도전동기의 기동 시 역률과 슬립은 반비례합니다.
교재 160p 속도 특성 곡선을 참고하면,
s=1에 가까워지는 부분(기동)의 역률과 슬립은 반비례
s=0에 가까워지는 부분(운전)의 역률과 슬립은 비례로 볼 수 있고
일반적으로 운전하는 경우로 보고 판단합니다.
r2/s가 일정한 것이지, r2/s를 포함한 모든 파라미터값들이 일정한 것은 아닙니다.
3) 유도전동기는 변압기와 등가회로가 같습니다. 변압기 1차측 전류라고 생각해주세요. 2차측전류에 권수비에 영향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