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머레이루프법
- 작성자
- 뒹굴뎅굴
- 작성일
- 2024-10-07 18:41:16
- No.
- 171861
- 교재명
- 전기기사 실기 기출문제 2권
- 페이지
- 518
- 번호/내용
- 13
- 강사명
문제해설에서 20(2L-X)=100X라고 했는데 만약 고장점이 발생해서 구해진 값이 100(2L-X)=20X로 나온다면 어떻게 되나요?
말씀하신 식으로 작성되어도 최종 결괏값은 동일하게 나옵니다.
머레이루프법 계산 시 x라는 것은 "측정점"에서 "고장점"까지의 거리입니다.
현재 문제에서 두 전력케이블 중 어떤 지점에서 고장이 발생했는지를 모르는 상태에서 측정점은 고정되어있습니다.
따라서 측정점부터 고장점까지의 거리를 x라고 가정할 수 있습니다.(고장점이 위에있든 아래에 있든 x로 두는 것은 동일합니다.)
휘스톤브리지법에 의해 식은 20(2L-x) = 100x로 작성될 수 있고,
측정점을 위에서 잡는다면 식은 100(2L-x) = 20x로 작성될 것입니다.
첫번째 식은 x=2km, 두번째 식은 x=10km가 나올 것인데,
전체 케이블의 길이는 12km이므로 결과적으로 고장점의 위치는 둘 다 동일하게 나옵니다.
다만, 해당 문제에서는 측정점을 아래를 기준으로 하였기때문에 교재의 해설의 식이 좀 더 정확한 풀이에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