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전기공무원
리액턴스 콘덴서
- 작성자
- 나자마카
- 작성일
- 2024-12-16 16:07:48
- No.
- 173455
- 교재명
- 2025 전기이론 기출
- 페이지
- 181
- 번호/내용
- 5
- 강사명
- 이재현
해당 그림에서 L값과 C값이 병렬로 되어있고, Xc의 값에 어떠한 값을 넣으면 XL과 상쇄가 된다고 하셨는데
그건 회로가 직렬로 되어 있을 때 상쇄가 되지 않나요? 병렬로는 '양변 곱한 것/양변 더한 것 ' 이 공식 써서 저항을 구해야 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유도성 리액턴스에 의해 지상 전류가 흐르고
이 지상 전류를 없애기 위해 콘덴서를 병렬로 연결시켜
용량성 리액턴스에 의한 진상 전류를 흐르게 하여 지상 전류를 상쇄 시킵니다. (역률개선의 원리)
이러한 의미의 상쇄로 생각해주세요.
참고로 R-L-C병렬에서는 유도성리액턴스와 용량성 리액턴스의 값이 동일해야 상쇄가 됩니다.
R-L-C 병렬을
어드미턴스로 해석하게 되면
Y=1/R + j(wC-1/wL)=1/R + j(1/Xc-1/Xl)이 됨을 알수 있습니다.
만약 Xc와 Xl의 크기가 같다면
1/Xc-1/Xl = 0가 됩니다.
따라서 순수한 저항만 남게 됩니다.
이를 병렬공진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