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전기공무원
질문
- 작성자
- 송잉양
- 작성일
- 2025-02-04 02:31:59
- No.
- 174326
- 교재명
- 9급 전기직 전기이론 기출문제집
- 페이지
- 내용에 기재
- 번호/내용
- 내용에 기재
- 강사명
- 남민수
2012 지방직 18 19번
빨간색으로 필기한 것처럼, -jXc가 기본형이므로 Xc가 마이너스일 경우, jXc가 되는게 아닌가요?
왜 두 문제 다, -jXc에 마이너스를 대입해도 +형이 안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2013 국가직 9번
필기 내용처럼 풀이하면 답이 나오지 않습니다. 각도를 고려하지 않아서 그런건가요?
2013 국가직 16번
B가 Z축과 동일한 성분이며, 속도는 Z축에 수직이며 X축과 30도 차이가 나니, B와V의 각도 차이는 90도 차이가 아닌가요.. 아무리 그림을 그려보고 생각해봐도 왜 120도 차이가 나는지 모르겠습니다.
- 첨부파일 : 질문.zip (210.51KB)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지방직 2012년 18번, 19번
용량성 리액턴스의 부호는 반드시 -j입니다.
우리가 C를 옴으로 바꾸면 1/jwC=-j(1/wC)=-jXc가 됩니다.
문제에서 Xc가 -1로 주어져 -jXc에 그대로 대입하면 될 것 같지만, 대입 시, +j가 됩니다. 이는 유도성 리액턴스를 의미하기에 용량성 리액턴스가 되기 위해서 교재와 같이 풀이되어야 합니다.
즉, 문제에서 어떻게 주어지든지 간에 -값으로 해석하시면 됩니다. 만약 +j로 해석하시면 이는 jwL 즉 유도성리액턴스가 됩니다.
*국가직 2013년 9번
결선을 변환하여 선전류를 풀이하는 방식은 부하가 평형일 때만 적용해주시길 바랍니다.
*국가직 2013년 16번
좌표계 x,y,z는 모두 서로에 대하여 수직인 좌표계이며
도체는 z축에 대하여 계속 수직입니다. 도체가 움직이는 방향(속도의 방향)이 x축에 대하여 30도라는 것입니다.
사진 참고하시면, 도체가 움직여도 놓인 상태를 보시면 z축과 계속 수직입니다. 그런데, x축에 대하여 30도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입니다. 따라서 B와 v가 이루는 각은 60도가 됩니다. 계단 올라가는 것처럼 입체적으로 그림을 봐주시길 바랍니다.
물론 질문자님처럼 z축방향으로 올라가는 방향이 아니라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한 채, 도체를 하나의 xy평면 상에서만 움직이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B와 v가 이루는 각이 90도가 되는 것이 맞습니다. 그것도 가능한 방법이지만, 실제 정답 발표 시, 2번으로 하였기 때문에 문제 의도가 교재 해설처럼 계단 올라가듯이 해석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둘 다 이론 상 해석이 가능하며, 정답을 2번으로 발표한 것으로 보아 60도로 해석하라는 것이지만,
이 문제는 해석의 여지를 남긴 조건이 부실하게 주어진 문제로 이해해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