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교재질문방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자유게시판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자료실
각 과목의 자료 모음
정오표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유효접지

작성자
don-ho
작성일
2025-02-19 17:08:44
No.
174737
교재명
2024 전력공학
페이지
96
번호/내용
직접접지방식 특징
강사명
최종인

안녕하세요. 강추위에 고생이 만으십니다.


  6장 중성점접지/p96 직접접지방식 특징에서 교수님 동영상 강의 유효접지 설명하신 내용입니다, 비접지방식의 그림과 유사한것 같아 궁금사항

  3가지 문의드립니다. 

  > 왼쪽 그림에서 1선 지락(a상) 시 실제 중성점 접지 자체의 저항성분이나 지락선이 수목(水木)등의 저항성분으로 선간전압이 중성점쪽으로 이동되

      지 못하고 중간지점에 멈춰서  실제 전위상승이 잇다고 하셧읍니다. 왼쪽 직접접지방식 그림은 y결선이고, 오른쪽 벡터도는 비접지방식(델타결선)

      입니다. 

  1> 하기 그림(왼쪽: 직접접지방식,오른쪽 비접지방식접지 Ec - Ea 선간전압=루트3)이 같은 개념인지요?

  2> 왼쪽 그림의 직접접지방식의 유효접지 정의에서 임피던스 조절해서 대지전압의 1.3배를 넘지 않토록 한다고 되어잇읍니다. 중성점 임피던스를

       조절하여 가능하면 저항값을 낮추어 전위가 올라가지 않게 하면 전류값은 더 커지게될거 같읍니다,  전압과 전류의 적절한점이 잇는지요? 

  3> 중성점 임피던스 조절하는 장치가 별도로 설치되는지요?

    

COMMENTS

운영교수
2025-02-20 10:57:18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1. 비접지방식 a상에서 지락사고가 발생했다면, a상의 전위는 0[v]가 되고 중성점이 a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건전상의 전위가 루트3배커집니다. 반면에 직접접지방식에선 중성점을 접지한 Y결선의 a상에서 지락사고가 발생했다면 a상의 전위는 0[V]가 되지만 비접지와 다르게 중성점이 A상으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전위상승이 적습니다.

2.3. 유효접지는 지락사고 시 건전상의 전압상승이 평상시의 대지간 상전압의 1.3배를 넘지 않도록 접지하는 것
즉, 접지 저항등을 감소시켜서 전압의 상승을 방지한다는 것입니다. 따로 조절장치를 삽입하진 않습니다.
저항값이 작을수록 전압값이 작아지기 때문에, 어떤 방법으로 저항값을 감소시켜서 전압값을 감소시킨다는 의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