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리엑턴스 용량등
- 작성자
- passpass
- 작성일
- 2025-02-20 10:06:06
- No.
- 174754
- 교재명
- 전기회로
- 페이지
- 100
- 번호/내용
- 10
- 강사명
- 이재현
페이지는 모릅니다
몇 문제 여쭤보겠습니다
1.코일에 단상100v 30A가 흐르고1.8KW 전력을 소비
이 코일과 병렬로 콘덴서 접속
합성 역률을 100% 로하기위한 용량은?
Pr 2400 구하는것 까지는 알겠는데요
해설은 V^2/Pr 인데요
Z사인 세타
즉 3000 ×0.6
이렇게 하면 안되나요?
X를 구하는데 이런 식도 있어서요
차이점이 뭐지요?
2.6600/210V 10KVA 단상변압기가 있다
%r 1.2. %x 0.9 이다
Vs는?
Vs/6600 X 100 =1.5. 이런 해설이 있는데요
이런문제는 무조건 1차 전압으로 푸나요?
3.동기기 과도 안정도 증가방법은?
%x는 크게
영상,역상 임피던스는 작게가 답인데요
둘 다 안좋은 성분이니 둘 다 작아야 하는거 아닌가요?
*그리고 죄송한데 페이지를 안쓰고 제가 노트에 적은 문제를 여쭤볼때 교재 페이지는 대충 써도 되는걸까요?
어디에서 적은것인지 기억이 안나서요ㅜㅜ
번거롭게 해드려서 죄송합니다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교재명 및 페이지 번호 내용을 정확히 기재해 주시면 좀 더 확실하게 답변해드릴 수가 있습니다.
1. 콘덴서를 병렬로 연결할 경우 콘덴서와 코일에서 발생하는 무효전력이 같아야 하는데
이때, 전압은 100V로 병렬이기 때문에 일정하고, 전류는 콘덴서를 달기 전 30A이지만
콘덴서를 단 후 콘덴서에 흐르는 전류는 코일과 나뉘어 30A가 아니게 됩니다.
저항과 코일 또는 커패시터가 연결된 회로에서 흐르는 전류는 전체 임피던스를 고려한 값이기 때문에
Pr = i²X에서 I = V / Z가 되어 유도된 공식입니다.
2. % 임피던스 관련 문제에서 1차측 전압 또는 2차측 전압을 어떤 경우에 넣어 계산하는지에 대해 질의하신 걸로 이해되어,
관련된 영상 첨부해드리겠습니다.
3. 동기기 안정도 향상 대책에는 단락비를 크게 할것, 동기 임피던스를 작게 할 것, 관성 모멘트를 크게할 것, 조속기의 신속한 동작, 속응 여자 방식을 채용할 것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