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교재질문방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자유게시판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자료실
각 과목의 자료 모음
정오표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전력공학 질문입니다.

작성자
김민혁
작성일
2014-05-10 16:25:35
No.
20597
교재명
페이지
번호/내용
강사명
1. 27p 에서 코로나 손실 발생 (Peek의 식) 동영상에서 설명하실때요.
루트 r/2D 부분 있잖아요 그게 책에는 루트 d/2D로 나와있는데 책이 맞는건가요?
반지름과 지름이라 저 두 설명이 엄연히 다른거 같아서요..

2.코로나 임계전압 식에서.. d부분을 2r로 바꿔 써도 똑같은 식인거죠?
또는 뒤에 log(D/r)를 log(2D/d)로 바꿔 써도 무방한 거죠?

3. 29p 4,5번 문제에서요.
문제에서 묻는 것은 소도체간의 간격 s를 묻는거죠?
풀이를 보면.. 3상에서 각 상의 등가선간거리를 구하는 식을 썼는데
복도체 안에서 각각의 소도체간 간격을 구할때도 그 식을 써도 되는건가요?

4. 30p 7번 문제에서요.
소도체의 개수 n이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는데도 풀이는 n이 2라고 되어 있더군요. 그리고 19번 문제도 마찬가지입니다.
원래 저렇게 별 말이 없으면 n을 2라고 간주하면 되는건가요? 마치 회로이론에서 별말이 없으면 전압값이나 전류값을 실효값으로 간주하는 것 처럼요.

5. 37p 26번 문제
D/r 가 크면 인덕턴스는 커지고, 정전용량이 작아지죠.
그리고 그와 동시에 코로나 임계전압도 커지는 게 맞죠?

인덕턴스가 커지는 건 안 좋은 현상이지만, 코로나 임계전압이 커지는 건 좋은 현상인데.
위와 같이 저렇게 좋은 현상과 안 좋은 현상이 같이 일어날 수도 있는 건가요?
또한 코로나 임계전압과 인덕턴스, 정전용량은 별 상관이 없는 관계인지도.. 궁금합니다.

COMMENTS

담당교수
2014-05-12 10:38:40
안녕하세요 김민혁님.

질문1.
r/D 또는 d/2D 로 되어야 합니다. r : 반지름, d : 지름
불편함을 드려 죄송합니다.

질문2.
네 맞습니다.

질문3.
등가 반지름을 묻는 문제입니다.
소도체 간의 간격을 s라고 했을 때 5번문제에서 s=32입니다.

질문4.
문제에서 복도체라고 하였으므로 2도체 이상을 의미합니다.
이 때 소도체의 개수가 주어지지 않았다면 소도체의 개수를 2로 보시는 것이 맞습니다.

질문5.
L값 증가, C값 감소, 코로나 임계전압이 증가됩니다.

질문6.
항상 장점이 있으면 그에 따른 단점도 발생하게 됩니다.
복도체를 사용하게 되면, 코로나 임계전압은 감소하지만,
L값 감소, C값증가에 의한 페란티현상이 발생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