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질문입니다
- 작성자
- 버스말고전기기사
- 작성일
- 2019-10-09 13:12:22
- No.
- 99936
- 교재명
- 과년도 2권
- 페이지
- 본문기재
- 번호/내용
- 본문기재
- 강사명
1. 과년도 2권 82p 5번에 (2)를 구하려 할때
간선의 굵기가 25mm^2 이라는건 도체 한선의 굵기이고
표2에 의해 구한 전선의 단면적이 74mm^2인건 도체 한선을 피복으로 감싸줘서 아직 한선인거고
그리고 이제 단상 3선식이라 총 3개의 이러한 선이 있으니 74에 곱하기 3을 해준
222 이다 이런 느낌이 맞을까요?
즉 간선이란건 도체 선 하나고
전선관 안에 3선식이냐 4선식이냐에 따라서 간선 3개, 4개선이 들어가는 건가요?
2. 과년도 2권 82p 5번에 (3) 에서
간선보호용 과전류 차단기의 정격전류는 전동기가 없는 상황에서
간선의 허용전류 이하여야 한다
라고 정규반 책에서 봤는데요 (정규반 82P 하단)
정규반 83P 보면
1. 일반부하 : 과전류차단기 정격전류 < 간선 허용전류
2. 전동기부하 : 간선허용전류 < 과전류 차단기 정격전류
라구 되어 있구요
이러한 이유 떄문에
89보다 작은 75를 선정한건가요?
3. 과년도 2권 612P 7번에 (3)
변압기의 정격용량을 물어봤는데
이것 또한 표준규격으로 구하라는 말인가요?
아니면 그냥 계산값 써도 되나요?
4. 분전반 복선도 그릴때
과년도 2권 574P (3)에선
NO 3,4 가 AB 같이 달려있는데 선 2개만 쓰고 (중성선안쓰고)
과년도 2권 615P 11번 (4) 에선
NO 1,2가 AB 같이 달려있는데 선 3개 썼는데
무슨 차이 인가요?
선하나 더 있다 싶으면 N 선도 해주고 그런건가요?
p82. 5번) (2)
전선의 굵기를 나타내는 공칭단면적 ㎟(또는 sq)은
항상 피복물을 제외한 도체의 단면적을 이야기 하며, 여기서 전선은 1가닥에 대한 것입니다.
즉, 전선의 굵기 = 전선의 공칭단면적 = 도체 단면적
즉, 표2의 좌측 도체 단면적이 전선의 공칭단면적이 됩니다.
표2의 우측 전선의 단면적은 표 아래 비고1과 같이 평균완성 바깥지름의 상한값을 말합니다.
간선이란 인입구에서 분기 과전류 차단기에 이르는 배선으로, 분기회로의 분기점에서 전원측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전선 한가닥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전선관 안에 전원선과 중성선을 같이 셈하지 않습니다.
즉, 3상 4선식의 경우 중성선은 빼고 3가닥으로 계산합니다.
p82. 5번) (3)
네, 맞습니다. 해당 문제는 모두 일반부하로
과전류 차단기의 정격전류는 전선에 흐를 수 있는 허용전류보다 작아야 합니다.
P612. 7번) (3)
문제에서 표준용량을 묻고 있지 않고 표준용량표가 별도로 주어진 것도 아니므로
계산값 또는 표준값 모두 답변 가능합니다.
p574. 3번)
부하집계표의 부하분담 그대로 그려주시면 됩니다.
p574. 3번은 no3, no4의 경우 AB간 부하분담이 되어있고
p615. 11번은 부하분담을 보면 모든 부하가 AN, BN간 걸려있습니다.